본문 바로가기
BUSINESS/StartUp

쿠콘 Coocon

by kiip 2021. 5. 17.

# 쿠콘 기업개요

쿠콘 로고

  • 2006년 설립 // 2021년 4월 상장
  • 자산관리, 간편결제, 대금 수납 및 결제, 맞춤형 상품 추천 등 비대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API를 제작하여 공급함.
  • 국내 대다수의 금융기관(200여 개 중 150여 개) 및 200여 개의 핀테크 기업이 주요 고객
  • 보맵, 핀다와 함께 마이데이터 사업의 주요 플레이어

# 사업분석 2020.12

1. 주요 제품

 

  • 금융기관, 정부기관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는 API
  • 자산관리 사업자, 마이데이터 사업자 등 데이터 확보가 필요한 사업자들은 당사의 API를 제공받아 편리하게 데이터를 공급받을 수 있음.

2. 제품 분류

  • 개인정보 API : 개인자산 통합관리 서비스, 개인 신용평가, 대출, 보험료 산정 등에 활용
  • 기업정보 API : 기업의 자금관리, 지출관리 등에 활용
  • 전자금융 API : 출금 및 입금 자동화, 가상계좌 대금 수납 등에 활용
  • 간편결제 API : 1원 인증 등 비대면 실명인증에 활용
  • 글로벌 API : 기업 해외계좌, 해외 ERP 등 해외 금융데이터
  • 기타(클라우드 서비스, 서버/미들웨어 운영 서비스, 서버/DB 보안 서비스)

3. 매출 분석

  • 2020년 기준, 매출 514억 (정보수수료 490억, 솔루션 판매 및 용역 23억), 제품 분류별 정보는 제공되지 않음.
  • 다만, 거래소 제품설명에 따르면, 페이먼트 65%, 데이터서비스 30%
  • API 판매시, 1회성 설치수익이 발생하고, 이후 정보 업데이트 수수료로 지속성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임.
  • 이러한 수익 모델은 구독경제와 유사함. 경기에 따른 수익변동이 적을 것으로 보임.
  • 또한 API별로 구분되어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다수의 API를 결합하여 판매함.

4. 비용 분석

  • 당사의 주요 비용은, 금융기관에 지급하는 수수료임. (영업비용 400억 중 지급수수료는 약 188억)
  • 이는 전자금융, 간편결제 API 제공에 따라 발생.
  • 따라서 향후 마이데이터사업 확대에 따라, 개인정보, 기업정보 API 매출 비중이 증가한다면,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낮아질 것으로 보임.
  • 기타 비용으로 클라우드 센터 구축 비용, 시스템 통합 관제센터 구축 비용 등

# 시장분석 2020.12

1. 데이터 서비스 시장 (개인정보, 기업정보 API)

  • 성장성 : 금융기관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핀테크 기업들의 성장에 따라 개인정보, 기업정보 API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
  • 점유율 : 개인정보 API 시장의 경우, 국내 200여개 금융기관 중 150여개 기관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핀테크 기업 150여 개에 제공하고 있음. 기업정보 API 역시 경쟁 우위에 있는 것으로 보임.
  • 글로벌 API를 제공하는 것은 국내 유일하며, 일본-중국-미국 제공 중, 최근 동남아 개척.

2. 페이먼츠 서비스 (간편결제, 전자금융 API)

  • E커머스, 인터넷뱅킹 등의 확대로 전자금융, 간편결제 API 시장도 성장 전망
  • 주요 경쟁자는 다날, 페이레터 등
  • 다날은 커머스 부분 매출이 약 2000억 (쿠콘은 매출 약 500억 중 65%이므로, 약 330억 규모)
  • 경쟁이 쉽지 않아 보임.

3. 분석 종합

  • BCG 매트릭스 기준 : 데이터 서비스 사업은 STAR, 페이먼트 사업은 QUESTION MARK
  • 회사 역시, 데이터 서비스 사업 확장을 시도하고 있으므로, 성장 가능성 있음.
  • 하지만, 시장 규모가 크지 않다는 점, 금융기관 등에 제공해야할 수수료 비용이 상당하다는 점은 고려할 부분.

# 재무분석 2021.05

"최근(21년 4월) 상장되어 3년치 재무정보만 존재"

 

1. 매출 및 영업이익

  • 매출 : 259억(2018) - 412억(2019) - 514억(2020) 으로 지속 성장중 GOOD. 다만, 매출 성장률은 둔화하고 있음.
  • EBITDA : 정보없음
  • 영업이익 : 35억(2018) - 62억(2019) - 112억(2020)으로 지속 성장중 GOOD
  • 영업이익률 : 13% - 15% - 22%로 역시 지속 상승 GOOD
  • 당기순이익 : 35억(2018) - 92억(2019) - 188억(2020)으로 지속 성장중 GOOD

2. 현금흐름

  • 당기순이익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영업현금흐름을 보이고 있음 GOOD
  • 영업현금흐름 : 58억(2018) - 185억(2019) - 188억(2020)
  • CAPEX의 경우, 2018, 2019년 크게 증가했으나 2020년에는 크게 감소함. 클라우드센터 구축 등에 따른 지출로 판단됨. NOT BAD

3. 재무상태

  • 자기자본증가율 : 148%(2018) - 70%(2019) - 80%(2020)으로 굉장히 높음. VERY GOOD
  • 당좌비율(2020.12) 107%로 좋지 않으나, 유동부채 대부분이 차입금이 아닌 매입채무에 해당함. NOT BAD

'BUSINESS > Start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시장/산업 분류  (0) 2021.09.27
메타버스 Metabus  (0) 2021.05.15
(스타트업) 애니펜 Anipen  (0) 2021.05.10
2020 벤처투자시장 결산 1편  (0) 2021.04.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