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Daily22 22.12.03 # 글로벌 인플레이션 정점 예상 글로벌 공급망이 unlocking되고 있고, 곡물, 연료 등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고 있음. 반면,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금리인상은 진행중. 블룸버그는 22.3분기 전년동기대비 9.8% 물가상승한것으로 정점을 찍고, 22.4분기 9.5%로 점차 하락할 것으로 예상. 다만, 중국의 위드코로나 정책이 시행될 경우, 억제수요가 풀리면서 중국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 있음. 2022. 12. 3. 미국 부채한도 협상 21.9.27 1. 미국의 채무불이행? 10월 중순까지 연방정부 부채한도를 상향하지 못할 경우, 만기 도래하는 부채 이자를 갚지 못해 디폴트에 처할 가능성 !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8788 2. 부채한도(debt limit) 및 부채한도법 부채한도란, 미국 정부가 사회보장 및 의료보험, 국채 이자 지급, 세금 환급 등 정부지출을 위해 빌릴 수 있는 총 금액, 즉, 재무부가 합법적으로 차입할 수 있는 전체 금액 부채한도법은 1917년 제정, 이전까지 미국 정부는 채권을 발행할 때마다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했으나, 법 제정 이후 재무부는 한도 내에서 의회승인 없이 재량적으로 채무증권을 발행할 수 있음. 이후 미국 정부부채가 부채한도에 도달.. 2021. 9. 27. 21.6.17 - 6월 FOMC # 기준금리 동결 (0.0~0.25%) 2021년 연방기금금리 중간값 0.1% # 2023년 말 금리 인상 전망 2022년말 금리 인상 예상 위원 7명 (3월, 4명) 2023년말 금리 인상 예상 위원 13명 (3월, 5명) ; 연준의 전체 위원은 18명 2023년말 금리 중간값 : 0.6% (0.5%△) ; 금리 인상 두 차례 예상 다만, 2021년까지는 금리 동결 전망 (모든 위원) #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인(Transitory) 것 2021년 예상 인플레이션 2.4% → 3.4% 상향 2021년 2022년 2023년 예상 인플레이션 (이전) 3.4% (2.4%) 2.1% (2.0%) 2.2% 근원 PCE 예상치 3.0% (2.2%) 2.1% (2.0%) 다만 파월 의장도 인플레이션율이 예상보다 더 높.. 2021. 6. 17. 21.6.16 - 미국 PPI, CPI, 소매판매 # Market CURRENCY CLOSE (%) CLOSE -1 (%) CLOSE -2 HIGH 3M LOW 3M USD KRW 1,117.06 -0.02 1,117.27 0.06 1,116.55 1,136.34 1,107.69 USD CNY 6.4060 0.11 6.3987 0.00 6.3987 6.5720 6.3684 USD JPY 110.0840 0.05 110.0320 0.29 109.7135 110.7590 107.8750 USD EUR 0.8247 -0.03 0.8249 -0.10 0.8258 0.8530 0.8164 CNY KRW 174.3896 -0.13 174.6183 0.07 174.4964 176.4800 170.4836 JPY KRW 1,014.80 -0.06 1,015.42 -0.. 2021. 6. 16. 21.6.14 # Market CURRENCY CLOSE (%) CLOSE -1 (%) CLOSE -2 HIGH 3M LOW 3M USD KRW 1,116.55 0.00 1,116.55 0.00 1,116.55 1,136.34 1,107.69 USD CNY 6.3987 0.00 6.3987 0.00 6.3987 6.5720 6.3684 USD JPY 109.7200 0.05 109.6650 0.00 109.6650 110.7590 107.8750 USD EUR 0.8259 0.00 0.8258 0.00 0.8259 0.8530 0.8164 CNY KRW 174.4964 0.00 174.4964 0.00 174.4964 176.4800 170.4836 JPY KRW 1,017.65 -0.04 1,018.00 0.00 1.. 2021. 6. 14. 21.6.13 - 글로벌 최저 법인세 # Summary 글로벌 최저 법인세 15%로 합의 (g7만, oecd국가 등 합의 필요) 이익률 10% 초과시, 초과금의 20%를 해당 국가에서 과세할 수 있도록 합의 유럽에서 추진된 디지털세는 보류, 최저 법인세 시행시 폐기 국내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 정도만 영향 받을 것으로 보임. # 추진 이유 부의 편중 심화 : 세계 500대 부자들의 재산은 코로나 기간동안 40% 증가했다.(총 8.5조 달러)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정치적 압력 강화 : 유권자들의 부유 기업의 편법적인 절세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음. 정부의 재원조달 필요성 : 코로나로 정부지출 규모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조세수입원 증가 필요 2021. 6. 1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