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무제표
재무제표는 '기업이 기업의 경제적 사건과 그에 따른 재무적 변동에 대한 정보를 정보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단' 이다.
즉, 투자자, 채권자 등 정보이용자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조금만 공부한다면, 누구나 재무제표를 분석하고 읽어낼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 재무제표의 종류
1) 재무상태표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as at the end of period
2) 포괄손익계산서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for the period
3) 현금흐름표 Statement of cash flow for the period
4) 자본변동표 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 for the period
5) 주석
재무상태표는 특정시점에서의 재무상태를 나태내는 자료이고, 포괄손익계산서-현금흐름표-자본변동표는 일정기간(보통 1년)의 손익-현금흐름-자본변동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다.
투자목적으로 재무제표를 분석할 경우, 재무상태표-포괄손익계산서-현금흐름표를 주로 사용한다.
#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특정시점'에서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재무제표를 말한다. 대다수의 기업은 12/31 결산기업이므로, 해당 기업들의 재무상태표는 '12월 31일'에서의 재무상태를 나타낸다.
투자목적에서는 기업의 유동성, 부채비율을 판단하기 위해 주로 사용한다.
1) 자산 = 부채 + 자본
재무상태표의 좌측을 차변, 우측을 대변이라 한다. 차변에는 '자산'항목을 기입하고, '대변'에는 '부채'와 '자본'을 기입한다. 차변의 합계와 대변의 합계는 같아야 하며, 이러한 의미에서 재무상태표를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B/S)라고 한다.
2) 자산은 회사가 소유한 '권리'를 나타낸다.
자산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고,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간단하게 말하면, '기업이 사업활동을 위해 보유한 자원'이라고 볼 수 있으며, '기업의 투자활동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도 있다. 즉, 자산은 기업의 소유물이다.
3) 부채는 회사가 가진 '타인에 대한 의무'를 나타낸다.
부채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과거 사건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경제적 효익이 내재된 자원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이행될 것으로 기대되는 현재의무'
주로, 회사가 타인에게 상환하여야 하는 채무를 의미하며, '타인이 우리 회사를 상대로 보유한 권리'라고도 볼 수 있다.
4) 자본은 회사가 가진 '주주에 대한 의무'를 나타낸다.
자본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잔여지분'
즉, 타인의 권리를 차감한 '회사의 순자산'이며, 이는 회사의 주인인 주주의 권리이다.
#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는 '기업의 일정기간 동안의 경영성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단, 주주와의 자본거래에 따른 자본 변동(유상증자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투자 목적에서는 기업의 수익창출능력,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예측에 사용된다.
1) 포괄손익 = 당기순손익 + 기타포괄손익
포괄손익은 당기순손익(ㅋ)과 기타포괄손익(ㅌ)의 합계액을 말한다.
2) 당기순이익
= 매출(ㄱ) - 매출원가(ㄴ) - 판매관리비(ㄹ) + 영업외손익(ㅅ - ㅇ) - 법인세비용(ㅊ)
매출원가는 제품/서비스 생산에 직접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을, 판매관리비는 인건비, 광고비 등 간접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을 의미한다. 영업외손익은 이자수익, 이자비용 등 주요 사업활동에 외의 결과로 발생하는 손익이다.
참고로 영업이익(EBIT)에서 감가상각비를 제외한 이익을 EBITDA라고 하며, 기업의 현금창출능력을 판단하는데 주로 활용된다. (EBITDA =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3) 기타포괄손익 = 장기성 미실현보유손익
장기성 미실현보유손익은 K-IFRS에서 규정한 '당기순이익으로 인식하지 않아야 하는 수익과 비용'이라는 것만 알고있자.
주로, 금융자산의 가치변동과 관련된다.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는 '기업의 일정기간 동안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제표'를 의미한다.
영업활동-투자활동-재무활동으로 구분하여 작성되며, 발생주의 원칙에 따라 작성되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일정기간 동안 기업이 실제 현금을 어떻게 사용했으며, 어떻게 회수했는지를 나타낸다.
'DOMIAN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재무제표 분석 - Part 3. 재무상태표 분석 (0) | 2021.05.26 |
---|---|
기초 재무제표 분석 - Part 2. 손익계산서 분석 (0) | 2021.04.28 |
현행 신용평가체계의 문제점 (# 등급쇼핑, # etc) (0) | 2021.04.20 |
기업 신용등급 & 신용평가회사 (0) | 2021.04.18 |
댓글